|
보건복지부 2023년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실적과 전남자치단체별 자료 등에 따르면 전남이 17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세종시와 함께 0.42%를 기록하여 전국 최하위라는 수모를 안았다.
전라남도 내부 현황을 분석해 보면 장흥군(1.27%)이 최고실적을 기록했지만 광주에서 1위를 기록한 남구(1.82%)에 비하면 부족하다는 평가다. 반면 신안군(0.14%), 담양군(0.13%), 고흥군(0.03%)은 실적을 보여 전국 지표에서도 최하위권을 기록했고, 시군구 관리주체인 전라남도가 절반도 넘기지 못한 0.38%를 기록해 지역 장애인단체로부터 비판의 중심에 섰다.
|
최고 실적을 기록한 장흥군은 총구매액 534억 원 중 6억7943만 원을 중증장애인 생산품을 구매해 1.27%의 비율을 기록했다. 장흥군 관계자는 "전 직원 장애인 인식 개선 교육과 장애인 고용·소득 증대를 위한 적극적인 구매 정책이 성과를 내고 있다"고 말했다.
반면, 전라남도는 0.38%의 실망스러운 구매율을 기록해 지역사회와 장애인 단체로부터 강한 비판을 받았다. 전라남도는 총구매액 2093억 원 중 7억9436만 원만을 중증장애인생산품에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. 모범을 보여야 할 광역단체로서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결과다. 장애인 단체들은 "전라남도의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율이 낮은 것은 정책적 관심과 실행 부족 때문이다"라며 강한 개선을 촉구했다.
특히 신안군, 담양군, 고흥군은 각각 0.14%, 0.13%, 0.03%의 구매율로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해 더욱 큰 비판을 받고 있다. 신안군은 총구매액 1060억 원 중 1억5057만 원, 담양군은 590억 원 중 7568만 원, 고흥군은 762억 원 중 2231만 원만을 중증장애인생산품에 사용했다. 이는 1% 구매율 목표조차 제대로 준수하지 못한 수치로, 장애인 고용과 소득 보장에 심각한 문제를 드러냈다.
|
장애인 단체들은 "전라남도와 신안군, 담양군, 고흥군 등 대부분 단체 구매율은 비참한 수준"이라며 "지방자치단체가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 의지가 전혀 없는 것 같다"고 비판했다. 또한 "전라남도 전역에서 장애인 고용과 소득 보장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하다"고 강조했다.
전라남도에서 90%가 넘는 단체에서 중증장애인생산품 의무 구매 비율을 충족하지 못하는 현실은 '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'의 실효성에 의문과 구매 정책에 대한 전체적인 개선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평가다.
중증장애인생산품 생산시설 한 관계자는 "중증장애인생산품 의무구매 제도의 성공적인 이행을 위해서는 자자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실질적인 정책 지원이 필수적이다"며 "전라남도와 사군구는 이번 실적을 기회로 삼아 장애인의 고용과 소득 보장을 위한 진정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철저한 정책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"고 말했다.
전남 장애인 단체 관계자는 "중증장애인생산품 의무구매 제도는 단순한 법적 규제가 아니라 장애인 일자리 창출과 경제적 자립을 위한 중요한 사회적 약속"이라며 "모든 지자체가 이 약속을 지킬 더 큰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"고 주장했다. 또한 "광역단체인 전라남도가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, 구체적인 구매 목표와 실행 계획을 통해 중증장애인생산품 구매율을 높여야 한다"고 촉구했다.
김영환 기자 bodo@wbci.kr